캄캄한 밤과 같은 겨울 아침, 방안 작은 조명을 켜고 차를 마십니다. 차는 궁금했지만 낯선 느낌이었는데요. 차를 즐기는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며 어느새 저의 일상도 바뀌었습니다. 추운 아침, 따뜻한 차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깨우는 시간을 좋아합니다. 차는 여러 번 우려먹으며 호흡이 생기는데요. 저는 처음 마실 때는 차에 집중하며 조용하게, 두 번째 우릴 때는 감사 일기를 쓰고, 세 번째엔 책을 조금 읽어요. 차와 글, 멋진 조합이죠.
오늘 아침엔 책 <기쁨의 발견>을 읽었습니다. 티베트 불교의 영적인 스승 달라이 라마와 남아공 정신적 지도자 투투 대주교가 나눈 대화를 엮은 책입니다. 이 책을 읽을 때마다 마음에 덕지덕지 붙은 먼지가 씻기는 거 같아요. 오늘은 ‘연민’ 챕터에서 여러 페이지를 접어두었습니다. 그중 지금의 한국이 떠오르는 구절을 나눠볼게요.
“스탈린과 히틀러 같은 사람은 권력을 가졌지만 연민의 마음은 결여되어 있고, 지배에 대한 생각만 꽉 차 있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결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그 사람들은 밤에 잠도 제대로 못 잤을 거라 생각합니다. 언제나 두려웠을 테지요. 그들은 자신의 사고방식과 마음가짐 때문에 두려움을 안고 사는 것입니다. 마하트마 간디는 언제나 웃는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넬슨 만델라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는 비폭력의 길을 따랐고, 권력에 집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백만의 사람들이 그를 기억합니다. 만약 그가 독재자였다면 아무도 그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았을 겁니다.”
이 글을 읽으며 연민이 줄어드는 건 위험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스스로에게도 세상에게도 말이죠. 오늘만큼은 이 글을 읽는 당신 스스로에게, 옆사람에게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사람에게도 연민을 느끼길 바래봅니다.
☘️무수한 존재들과 함께 살고 싶은, 무수 드림